2025년부터 여러 복지제도가 변경되면서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노인, 장애인, 한부모가정 등 다양한 계층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번 정책 변화는 급여 인상, 선정 기준 완화, 추가 지원금 도입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저소득층의 생활 안정과 자립을 돕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주요 변경 사항 12가지를 정리했다.
https://youtu.be/inXVrnGzA0M?si=Op4BU6NxdNPADqqT
1. 기초생활수급자 급여 인상 및 기준 완화
기초생활수급자의 급여가 인상되고, 선정 기준이 완화된다.
✅ 1인 가구 기준 소득인정액 조정:
- 생계급여: 76만원
- 의료급여: 95만원
- 주거급여: 114만원
- 교육급여: 119만원
✅ 자동차 소유 기준 완화:
- 기초생활수급자가 자동차를 보유하더라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변경된다.
✅ 65세 이상 노인 근로소득 공제 확대:
- 노인이 일정 금액의 근로소득을 벌어도 수급 자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공제 범위를 확대한다.
2. 의료급여 본인 부담금 개편
✅ 기존 정액제 → 정률제로 변경 (2025년 하반기 시행)
- 의료급여 1종: 진료비의 4~8% 부담
- 의료급여 2종: 진료비의 4~15% 부담
- 약국 이용 시 본인 부담금: 기존 500원 → 2%로 변경
✅ 건강생활 유지비 인상
- 기존 6,000원 → 12,000원으로 상향하여 본인 부담금 증가에 대한 보완책 마련
3. 자활 성공 지원금 신설
✅ 조건부 수급자가 취업 또는 창업 시 지원금 지급
- 6개월 근무 시 50만원
- 1년 근무 시 최대 150만원
✅ 취업 및 창업 독려 정책
- 기초생활수급자가 안정적으로 경제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금을 지급한다.
4. 문화누리카드 지원 확대
✅ 문화·예술·체육·여행 비용 지원
- 기존 13만원 → 14만원으로 인상
- 저소득층의 문화생활 향상을 위한 지원 확대
5. 농식품 바우처 본격 시행
✅ 대상: 생계급여 수급 가구 중 임산부 및 영유아 가구
✅ 지원금액:
- 1인 가구: 4만원
- 2인 가구: 6만5,000원
- 3인 가구: 8만3,000원
- 4인 가구: 10만원
✅ 사용처: 국내산 채소, 과일, 우유, 계란 등 필수 식품 구매 가능
6. 소액 장기 연체자 채무 면제 제도 신설
✅ 대상:
- 500만원 이하 소액 채무
- 1년 이상 연체한 기초생활수급자 및 중증장애인
✅ 혜택:
- 최대 15% 감면
- 재정 상황 악화 시 원금 전액 면제
- 고금리 대출 부담 완화 및 경제적 재기 지원
7. 맞벌이 가구 근로장려금 소득 기준 인상
✅ 기존 3,800만원 → 4,400만원으로 상향
✅ 부양가족 및 장애인 가구의 근로장려금 요건 완화
8. 긴급복지 생계비 지원 단가 인상
✅ 1인 가구: 73만원
✅ 2인 가구: 120만원
✅ 3인 가구: 154만원
✅ 4인 가구: 187만원
✅ 갑작스러운 위기 발생 시 생계비 지원 확대
9. 기초연금 지원 확대
✅ 단독 가구: 343,510원
✅ 부부 가구: 549,600원
✅ 신청: 만 65세 생일 한 달 전부터 가능
✅ 대상자 확대 및 지급 금액 증가
10. 장애인연금 기초급여 인상
✅ 1인당 기초급여: 343,510원
✅ 기초수급자는 기초급여 + 부가급여 포함 최대 43만원 지급
✅ 65세 이상 시 기초연금으로 전환되며, 부가급여만 지급됨
11. 디딤씨앗통장 대상 확대
✅ 기존: 기초수급 및 보호아동 대상
✅ 변경: 차상위계층 및 한부모가정 아동까지 확대
✅ 지원 지속 가능:
- 중간에 소득이 증가하더라도 지원이 중단되지 않도록 변경
✅ 목적:
- 아동이 성인이 되었을 때 학업·취업·사회 진출 준비를 위한 자금 마련
12. 한부모가정 아동양육비 지원 확대
✅ 아동양육비 인상:
- 기존 21만원 → 23만원
- 청소년 한부모: 35만원 → 37만원
✅ 학용품비 지원 확대:
- 기존 중·고등학생 지원 → 초등학생까지 확대
✅ 양육비 선지급 제도 도입:
- 국가가 양육비 미지급분을 먼저 지급 후 비양육자에게 회수
- 한부모 가정의 경제적 부담 경감
📌 2025년 복지 정책의 핵심 변화
🔹 기초생활수급자 급여 인상 및 기준 완화
🔹 의료급여 본인 부담금 개편 및 건강생활 유지비 인상
🔹 자활 성공 지원금 신설로 탈수급 장려
🔹 문화누리카드, 농식품 바우처 등 생활 지원 강화
🔹 소액 장기 연체자 채무 감면
🔹 기초연금·장애인연금 지원금 인상
🔹 맞벌이 가구 근로장려금 확대
🔹 긴급복지 생계비 인상 및 한부모가정 양육비 증가
2025년부터 시행되는 복지제도 변경 사항을 꼼꼼히 확인해 필요한 지원을 놓치지 않도록 하자.
#기초생활수급자 #복지정책 #저소득층지원 #기초연금 #한부모가정
'코스티 이야기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화 걱정 없는 30대 피부 관리: 아이 리쥬란, 써마지, 울쎄라 리뷰 (0) | 2025.02.02 |
---|---|
월 최대 150만원 지원! 2025년 중장년 경력 지원제, 퇴직 후 재취업 기회를 잡는 법 (0) | 2025.01.31 |
10만원대 전동책상 모션데스크 리뷰 – 아우스 FJ03 vs 플렉시스팟 비교 (0) | 2025.01.31 |
동안 피부의 비밀! 약국에서 쉽게 살 수 있는 피부 재생템 3가지 (0) | 2025.01.30 |
롯데카드 신상품 리뷰: 2025년 주목할 카드 라인업 (0)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