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작하며
애플이 야심 차게 출시한 비전 프로(Vision Pro)가 나온 지 1년이 지났다. 출시 전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지만, 500만원이라는 높은 가격과 무게, 부족한 콘텐츠 등의 문제로 인해 여러 비판도 있었다.
그러나 출시 후 1년이 지난 지금도 비전 프로를 꾸준히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이 이 기기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1년 동안 비전 프로는 어떤 변화를 겪었으며,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지 살펴보자.
2. 비전 프로, 누가 사용하고 있을까?
비전 프로의 초기 반응은 극과 극이었다. 혁신적인 공간 컴퓨팅 기술이라는 기대를 받은 반면, 실제 사용 환경에서는 무거운 본체와 부족한 콘텐츠가 단점으로 지적됐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기기를 꾸준히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1) 그래픽 디자이너 및 크리에이터
비전 프로를 꾸준히 사용하는 사람 중 하나는 그래픽 디자이너와 영상 편집자들이다.
예를 들어, 그래픽 디자이너 ‘한이’는 비전 프로를 맥의 가상 디스플레이로 활용하고 있다. 그는 기존의 모니터보다 훨씬 큰 화면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받고 있다고 한다.
특히 대형 현수막 디자인과 같은 작업을 할 때 비전 프로는 일반 모니터로는 구현할 수 없는 현실적인 스케일을 제공한다. 기존 모니터에서는 최대로 확대해도 실제 크기를 가늠하기 어렵지만, 비전 프로에서는 가상 환경에서 실제 크기를 비교해 볼 수 있다.
(2) 게임 개발자 및 VR 콘텐츠 제작자
VR과 AR 기술을 활용하는 개발자들도 비전 프로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게임 개발사 DUG에서 출시한 ‘피싱 헤이븐(Fishing Haven)’은 비전 프로에서 컨트롤러 없이 손동작만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는 게임이다.
개발자는 실제 낚싯대나 전용 장비를 함께 활용하면 몰입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 VR 게임들이 컨트롤러 기반으로 작동했던 것과 달리, 손의 움직임을 그대로 인식해 게임 내 행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는 점이 비전 프로의 장점이다.
3. 비전 프로의 1년 간의 변화
비전 프로는 출시 이후 여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거쳤으며, 사용성이 개선되었다.
(1)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 한글화 지원: 초기에는 한글 지원이 부족했지만, 현재는 정식으로 적용되었다.
- 아이콘 이동 기능 추가: 홈 화면에서 앱 아이콘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 손동작 제스처 개선: 손을 뒤집으면 컨트롤 센터가 열리고, 손가락을 꾹 누르면 화면 조절이 가능해지는 등 새로운 제스처 기능이 추가되었다.
(2) 콘텐츠 소비 환경 개선
비전 프로는 영상 콘텐츠 감상에 최적화된 기기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특히 애플 TV 플러스에서 제공하는 몰입형 콘텐츠나, 어메이즈 VR의 콘서트 영상은 일반적인 2D 화면에서 볼 수 없는 경험을 제공한다.
하지만 넷플릭스, 유튜브 등 주요 스트리밍 서비스의 공식 앱이 제공되지 않는 점은 여전히 불편한 요소다. 현재는 사파리 브라우저를 통해 극장 모드로 감상할 수 있지만, 별도의 앱이 지원된다면 훨씬 더 편리할 것이다.
4. 비전 프로와 게임 – 현재와 미래
비전 프로가 게임 기기로도 활용될 수 있을까?
현재로서는 PC 또는 콘솔의 대형 화면을 가상으로 띄워서 게임을 즐기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실제로 많은 사용자가 플레이스테이션, 엑스박스, PC 게임을 비전 프로에서 스트리밍해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정식 VR 게임을 비전 프로에서 즐기기에는 몇 가지 제약이 있다.
(1) 컨트롤러 문제
현재 PSVR 컨트롤러와 같은 전용 장비와의 호환성이 부족하다.
애플이 정식으로 다양한 컨트롤러를 지원할 경우, 비전 프로의 활용도는 더 높아질 수 있다.
(2) VR 게임 부족
현재 비전 프로에는 정식 VR 게임이 많지 않다.
애플이 게임 개발을 적극 지원하지 않는 점도 문제다.
반면, 메타 퀘스트와 같은 경쟁 기기는 이미 수많은 VR 게임을 지원하고 있어 비교된다.
5. 비전 프로가 해결해야 할 문제들
비전 프로는 아직도 몇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있다.
(1) 가격 문제
500만원이라는 가격은 여전히 부담스럽다.
중고 시장에서는 가격이 300만원대로 떨어지고 있으며, 이 정도 가격이라면 구매를 고려할 만하다는 의견도 많다.
(2) 콘텐츠 부족
비전 프로용 몰입형 콘텐츠가 부족한 점은 여전히 큰 단점이다.
16K 해상도를 지원하는 전용 촬영 장비가 필요해 제작이 어려운 것도 문제다.
최근 블랙매직에서 비전 프로 전용 카메라를 출시했지만, 4,000만원에 달하는 가격은 대중화와 거리가 멀다.
(3) AI 기능 미적용
현재 비전 프로에는 AI 기술이 적극적으로 적용되지 않았다.
애플 인텔리전스가 적용된다면, 더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 마치며
비전 프로는 출시 초기부터 기대와 실망이 공존하는 제품이었다.
1년이 지난 지금, 초기보다 소프트웨어와 콘텐츠 환경이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 있다.
비전 프로가 대중적인 기기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 더 많은 콘텐츠 지원
- AI 기능 강화
- 컨트롤러 및 게임 환경 개선
등의 변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점은, 비전 프로를 직접 사용해 본 사람들은 이 기술이 미래의 컴퓨팅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확신한다는 점이다.
비전 프로가 앞으로 어떤 변화를 겪을지 기대된다.
#비전프로 #애플VR #VR게임 #가상현실 #애플기기
'리뷰 > 전자기기 사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S25 플러스 vs 울트라: 가성비와 프리미엄 사이의 고민 (0) | 2025.02.09 |
---|---|
삼성 월렛 UI 정상화 완료! 최신 업데이트 내용 정리 (0) | 2025.02.08 |
조텍이 만든 UMPC? ZOTAC GAMING ZONE 리뷰 (0) | 2025.02.08 |
갤럭시 S25 굿락 필수 설정! 놓치면 후회할 유용한 기능 총정리 (0) | 2025.02.08 |
레노버 리전 고 S 리뷰: 스팀덱과 윈도우 UMPC 사이의 선택은?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