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
2TB에 12만 원짜리 SSD가 실제 성능까지 괜찮다면, 그야말로 가성비 끝판왕 아닐까요? 최근 쿠팡에서 최저가로 판매 중인 fanxiang S660 SSD는 PCIe 4.0 기반에 방열판까지 포함된 제품입니다. 가격만 보면 충분히 매력적이지만, 디램리스 제품이라는 점에서 우려도 생기죠.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해당 SSD를 직접 설치하고 속도, 발열, 활용도까지 꼼꼼히 살펴봤습니다.
1. fanxiang S660 스펙부터 간단히 살펴보기
(1) 주요 스펙 정보
- 용량: 500GB / 1TB / 2TB
- 인터페이스: PCIe Gen4 x4, NVMe 1.4
- 읽기 속도: 최대 4,800MB/s
- 쓰기 속도: 최대 4,200MB/s
- 방열판: 기본 포함
- KC 인증: 있음
- 디램리스: O
가격대 비교표
용량 | 가격 (쿠팡 기준) | GB당 단가 |
---|---|---|
500GB | 52,370원 | 약 105원 |
1TB | 82,000원 | 약 82원 |
2TB | 124,000원 | 약 62원 |
📌 2TB 기준 GB당 62원으로, 동일 스펙 제품 중 최저 수준입니다.
2. 설치해보니 어땠을까?
(1) 방열판 두께와 분리 여부
fanxiang S660은 방열판이 기본 장착된 일체형 구조입니다. 일반적으로 고가 SSD에서나 볼 수 있는 구조로, 별도의 장착 필요 없이 바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 사용자들은 "방열판 분리가 어렵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약간의 주의만 기울이면 무리 없이 분리 가능했습니다.
(2) 노트북 호환성도 괜찮을까?
노트북에 사용할 경우 방열판이 걸림돌이 될 수 있는데, 방열판 분리 후 문제 없이 장착 가능했습니다. 내부 써멀패드도 깔끔하게 제거되어, 다른 장비에 이식해서 쓰기도 수월했습니다.
3. 실측 성능은 얼마나 나왔을까?
(1) 썬더볼트 인클로저 테스트 결과
- 읽기 속도: 3,700MB/s
- 쓰기 속도: 3,000MB/s 초반
→ 외장 SSD로 사용해도 괜찮은 수준
(2) 데스크탑 메인보드 직결 테스트 결과
- 읽기 속도: 5,215MB/s
- 쓰기 속도: 4,874MB/s
- 테스트 당시 온도: 최고 49도
📌 스펙보다 더 높은 속도가 나왔고, 온도도 50도 이하로 안정적이었습니다.
4. 디램리스 SSD,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
(1) 장점
- 가격이 저렴함
- 일반적인 게임, 자료 저장 용도로는 충분
- 속도 테스트 결과에서도 성능 준수
(2) 단점
- 디램이 없어 지속적인 고부하 작업에서는 성능 저하 우려
- 영상 편집, 데이터 연산, 캐시 활용 등에선 한계가 있음
📌 디램리스 SSD는 영상 작업 등 반복 입출력에는 부적합합니다.
5. 어떤 사람에게 어울릴까?
fanxiang S660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특히 유용합니다.
사용 목적 | 적합도 | 비고 |
---|---|---|
게임 설치용 SSD | ★★★★☆ | 설치, 로딩 속도 빠름 |
영상 편집용 메인 SSD | ★☆☆☆☆ | 디램 부족으로 권장하지 않음 |
웹서버 캐시용 SSD | ★★★☆☆ | 가벼운 용도라면 사용 가능 |
일반 자료 저장용 | ★★★★★ | 충분한 성능 |
노트북 저장 확장 | ★★★★☆ | 방열판 분리 시 설치 무난 |
6. 다른 SSD와 비교해 보면?
시게이트 파이어쿠다 520과 비교
항목 | fanxiang S660 2TB | 파이어쿠다 520 2TB |
---|---|---|
가격 | 124,000원 | 약 22~25만원 |
디램 | 없음 | 있음 |
속도 | 약 5,200/4,800MB/s | 약 5,000/4,400MB/s |
복구 서비스 | 없음 | 있음 (Rescue 지원) |
fanxiang S660은 가격 대비 성능은 매우 우수하지만, 데이터 복구가 중요한 사용자라면 시게이트와 같은 복구 서비스 포함 제품이 더 적합합니다.
마치며
fanxiang S660 SSD는 가격, 성능, 구성 모두 준수한 제품이었습니다. 특히 게임용, 저장용으로는 최적의 선택일 수 있습니다. 다만 영상 편집이나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엔 디램 포함 SSD나 복구 서비스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2TB에 12만원대 SSD가 어떤지를 고민 중이라면, 이 제품은 분명 한 번쯤 고려해볼 만한 선택입니다.
'리뷰 > 전자기기 사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K·8K 제대로 보려면? HDMI 케이블 고르는 법 한눈에 보기 (0) | 2025.04.19 |
---|---|
세탁기·건조기 용량보다 중요한 것? 설치공간·외경 체크가 핵심 (0) | 2025.04.19 |
OLED TV 고민 중이라면? 삼성 SF95 직접 써보고 느낀 5가지 변화 (0) | 2025.04.19 |
아이패드 매일 쓰는 이유? 직장인 루틴에 꼭 필요한 12가지 기능 (0) | 2025.04.19 |
LG 그램에 라이젠 달렸다? 성능·발열·배터리 완벽 정리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