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자동차

차세대 전기차 게임체인저, CATL 2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 분석

by 코스티COSTI 2025. 5. 4.

시작하며

배터리 시장이 요즘 심상치 않습니다.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사인 CATL이 혁신 기술을 대거 공개하면서, 단순한 가격 경쟁을 넘어 K-배터리의 자리를 위협할 만큼 강력한 기술력을 선보였습니다. 특히 2세대 나트륨 이온(Na-ion) 배터리 'Naxtra'이종 배터리 혼합 기술 'AB 배터리 팩'은 향후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시장에 큰 변화를 몰고 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신기술의 핵심 원리와 시장에 미칠 영향을 깊이 있게 풀어보겠습니다.

 

1. CATL이 선보인 두 가지 핵심 기술은?

(1) 2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 'Naxtra'

CATL이 내놓은 2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는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의 단점을 보완하며 가격 경쟁력과 공급망 안정성에서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특히 에너지 밀도 향상이라는 기존 한계를 극복한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 AB 배터리 팩: 이종 배터리 혼합 시스템

또 하나 주목할 기술은 서로 다른 배터리를 하나의 팩으로 조합해 특성에 따라 조율하는 AB 배터리 팩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운용 환경에서도 배터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2. 나트륨 이온 배터리, 리튬 이온과 무엇이 다를까?

(1) 기본 원리와 구조는 비슷하다

나트륨 이온 배터리도 리튬 이온 배터리처럼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으로 구성됩니다. 충전 시 나트륨 이온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고, 방전 시 다시 양극으로 돌아오면서 전기를 발생시킵니다.

(2) 차이점은 여기!

  • 이온 크기: 나트륨 이온은 리튬 이온보다 약 40% 더 큽니다.
  • 음극재: 리튬 배터리는 흑연을 사용하지만, 나트륨은 하드 카본 같은 다른 소재를 필요로 합니다.
  • 전압: 나트륨 이온 배터리는 리튬보다 작동 전압이 약 0.3V 낮습니다.
  • 안전성: 나트륨은 리튬보다 반응성이 낮아 열폭주 위험이 적습니다.

 

3.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장점 한눈에 보기

구분 나트륨 이온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
원재료 공급 풍부, 저렴 (바닷물) 제한적, 가격 변동 큼
안전성 열폭주 위험 낮음 열폭주 위험 존재
전압 낮음 (약 3V) 높음 (약 3.6~3.7V)
에너지 밀도 낮지만 개선 중 높음
음극재 비용 알루미늄 사용 가능 구리 필수

 

4. Naxtra가 가진 게임 체인저 포인트는?

(1) 에너지 밀도 향상

기존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는 kg당 150Wh 수준이었지만, 이번 'Naxtra'는 175Wh/kg까지 올렸고, 연내 200Wh/kg 달성도 목표하고 있습니다.

(2) 무음극(Anode-Free) 기술 적용

흑연 음극 없이 나트륨 이온을 집전체에 직접 쌓는 방식으로,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하고 제조 단가를 절감했습니다.

(3) 덴드라이트 억제 기술

나트륨이 집전체에 예쁘게 쌓이도록 표면 코팅과 전해질 조정을 통해 덴드라이트 성장을 억제했습니다. 이는 안전성과 수명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부분입니다.

 

5. 'Naxtra' 기술의 파급 효과, 어디까지 갈까?

  • 저가형 전기차 시장: LFP 배터리를 빠르게 대체하며 가격 인하를 주도할 가능성
  •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온도 안정성 강점 덕분에 ESS 시장에서도 급속히 확장될 전망
  • 기존 배터리 기술에도 확장 적용: 무음극 기술은 리튬 이온 배터리에도 응용 가능하여 전반적인 에너지 밀도 향상 기대

 

6. AB 배터리 팩, 이렇게 이해하면 쉽다

구성 설명
이종 배터리 혼합 리튬 이온+나트륨 이온 또는 서로 다른 특성 배터리 혼합
운용 방식 상황에 따라 각 배터리 독립 제어
장점 온도나 수명에 최적화된 효율적 운용 가능
기대 효과 배터리 수명 연장, 전체 팩 성능 향상

 

7. 향후 K-배터리 시장에 미칠 영향은?

(1) 가격 중심 시장에서 경쟁 심화

나트륨 이온 배터리가 본격 상용화되면, LFP 배터리 기반 저가형 전기차 시장은 격변할 수 있습니다. 특히 CATL의 규모의 경제가 빠르게 달성될 경우, 단순 가격 경쟁으로는 맞서기 어려운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2) 고성능 시장에서는 여전히 리튬 기반 유지

다만, 에너지 밀도 한계로 인해 고급형 전기차나 장거리 주행 차량에서는 여전히 3원계 배터리(NCM)가 주류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치며

CATL의 2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 'Naxtra'와 AB 배터리 팩 기술은 배터리 산업의 흐름을 크게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가격, 안정성, 공급망 측면에서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어, ESS와 전기차 시장 모두에서 빠른 변화를 이끌어낼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K-배터리 역시 기술 개발과 시장 대응 전략을 더욱 정교하게 다듬어야 할 시점입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코스티(COSTI) | 김욱진 | 경기도 부천시 부흥로315번길 38, 루미아트 12층 1213호 (중동) | 사업자 등록번호 : 130-38-69303 | TEL : 010-4299-8999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18-경기부천-1290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