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작하며
갤럭시 S25를 사용하면서 사진과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알고 있으면 더욱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갤러리와 내파일 앱에는 기본적으로 보이지 않는 숨겨진 기능들이 있으며, 이를 활성화하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번 글에서는 갤럭시 S25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갤러리·내파일의 숨겨진 기능을 소개한다.
2. 갤러리 휴지통 용량 표시 기능
갤러리에서 사진이나 영상을 삭제하면 기본적으로 바로 삭제되지 않고 휴지통으로 이동된다. 하지만 휴지통이 얼마나 차 있는지 확인하려면 직접 들어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휴지통 용량 표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활성화 방법
- 갤러리 앱을 실행하고 오른쪽 하단 줄세개 버튼(≡)을 선택
- 설정을 선택한 후 맨 아래 갤러리 실험실을 선택
- 휴지통 정보 표기 기능을 사용함으로 변경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 사진이나 영상을 삭제할 때 휴지통에 쌓여 있는 용량이 함께 표시되므로 불필요한 파일을 정리하기가 더 쉬워진다.
3. 점세개(⁝) 버튼을 하단으로 이동
갤러리 앱의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점세개(⁝) 버튼을 하단으로 옮겨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설정 방법
- 갤러리 앱에서 줄세개 버튼(≡)을 선택한 후 설정으로 이동
- 갤러리 실험실을 선택한 뒤 퓨어 하단 메뉴 보이기를 활성화
- 갤러리를 완전히 종료한 후 다시 실행
이제 점세개(⁝) 버튼이 하단 메뉴로 이동하여 한 손으로 더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4. 갤러리에서 비디오 프리뷰 끄기
사진 리스트에서 영상 파일의 프리뷰가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이 불편하다면 이 기능을 끌 수 있다.
설정 방법
- 갤러리 앱에서 줄세개 버튼(≡) → 설정 → 갤러리 실험실로 이동
- 사진 리스트에서 비디오 프리뷰 기능을 사용 안함으로 변경
이렇게 하면 사진 리스트에서 동영상이 자동으로 미리 재생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5. 갤러리 스토리 자동 생성 및 알림 끄기
갤러리에서 자동으로 스토리를 생성하고 알림을 보내는 기능이 부담스럽다면 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설정 방법
- 갤러리 앱에서 줄세개 버튼(≡) → 설정을 선택
- 스토리에서 자동으로 만들기를 사용 안함으로 변경
- 알림도 사용 안함으로 변경
이제 갤러리가 자동으로 스토리를 만들거나 불필요한 알림을 보내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6. 내파일에서 즉시 삭제 버튼 활성화
기본적으로 갤럭시 S25의 내파일 앱에서는 파일을 삭제하면 휴지통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특정 파일을 완전히 삭제하고 싶다면 즉시 삭제 버튼을 활성화할 수 있다.
설정 방법
- 내파일 앱을 실행한 후 오른쪽 상단 점세개 버튼(⁝)을 선택
- 설정을 선택한 뒤 맨 아래 내파일 정보를 선택
- 내파일 버전을 여러 번 연속으로 터치하면 숨겨진 메뉴(마이 파일즈 랩스)가 활성화됨
- 마이 파일즈 랩스 메뉴에서 딜리트 옵션(Delete Option)을 사용함으로 변경
- 내파일 앱을 완전히 종료한 후 다시 실행
이제 파일을 삭제할 때 완전히 삭제 옵션이 추가되어 즉시 삭제가 가능하다.
7. 마치며
갤럭시 S25의 갤러리와 내파일 앱에는 기본적으로 보이지 않는 다양한 기능이 숨겨져 있다.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면 파일 정리와 관리가 훨씬 수월해진다. 특히 휴지통 용량 표시, 점세개 버튼 위치 변경, 비디오 프리뷰 끄기, 스토리 자동 생성 차단, 즉시 삭제 버튼 활성화 등은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앞으로도 유용한 기능을 활용해 더욱 편리하게 갤럭시 S25를 사용해 보자.
#갤럭시S25 #갤러리설정 #내파일꿀팁 #스마트폰활용 #갤럭시숨겨진기능
'리뷰 > 전자기기 사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스마트폰, 더 얇고 가벼워진다! 갤럭시 S25 엣지 vs 아이폰 17 에어 (0) | 2025.02.09 |
---|---|
17만원대 스냅드래곤6Gen1 태블릿, iPlay 60 mini Turbo 성능 업그레이드? (0) | 2025.02.09 |
갤럭시 S25 플러스 vs 울트라: 가성비와 프리미엄 사이의 고민 (0) | 2025.02.09 |
삼성 월렛 UI 정상화 완료! 최신 업데이트 내용 정리 (0) | 2025.02.08 |
애플 비전 프로 1년 사용기: 500만원 가치가 있었을까? 기대와 현실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