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작하며
스마트폰이 점점 강력한 성능을 갖추면서, 과거에는 불가능했던 작업들도 가능해지고 있다. 최근 갤럭시 S25 울트라는 강력한 프로세서를 탑재하며, 이제는 PC 게임까지 실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번 테스트에서는 갤럭시 S25 울트라에서 위쳐3를 실행해 보고, 실제로 게임이 구동되는지 성능을 점검했다. 또한, GameSir 컨트롤러와 쿨러를 활용해 스마트폰을 '짭 스팀덱'처럼 구성해 보았는데, 과연 결과는 어땠을까?
2. 갤럭시 S25 울트라의 성능, PC 게임이 가능할까?
갤럭시 S25 울트라는 최신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을 탑재했다. 벤치마크 결과를 보면, 싱글코어 3,000점 이상, 멀티코어 9,500~10,000점을 기록하며, 일부 고성능 노트북 CPU와 비교될 정도로 뛰어난 수치를 보여준다. GPU 성능도 인상적인데, GFX벤치 아즈텍 루인 기준으로 초당 약 100 프레임을 기록해, GTX 1650급의 성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성능이 곧바로 PC 게임을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PC 게임들은 주로 x86 기반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ARM 기반의 모바일 칩에서 실행하려면 에뮬레이션 기술이 필수적이다.
3. 에뮬레이터 기술과 GOG.com의 역할
대부분의 PC 게임은 인텔 또는 AMD의 x86 아키텍처에서 작동하도록 개발되었다. 반면, 스마트폰의 스냅드래곤 8 엘리트는 ARM 기반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기술이 바로 x86과 ARM을 연결하는 에뮬레이션 레이어다.
최근에는 Wraylator 같은 오픈소스 에뮬레이터가 등장하며, 실사용이 가능할 만큼 안정성이 높아졌다. 또 다른 대안으로 GameFusion이라는 에뮬레이터가 있는데, 이는 좀 더 사용자 친화적으로 커스텀된 버전이다.
게임 파일의 합법적인 획득도 중요한 문제다. 대다수 PC 게임은 DRM(디지털 권한 관리) 기술이 적용되어 있어, 이를 우회하면 불법 복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GOG.com에서는 DRM이 없는 게임을 공식적으로 판매하며, 위쳐3도 여기서 구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법적인 문제 없이 게임을 실행할 수 있었다.
4. GameSir 컨트롤러와 쿨러로 '짭 스팀덱' 만들기
GameSir X3 Pro 컨트롤러 특징
- 반투명 디자인과 쿨러 내장
- 마이크로 스위치 적용으로 빠른 반응 속도
- ABXY 버튼 위치 변경 가능
- 진동 기능 지원(다만 감도가 약함)
- 쿨러는 별도 전력 공급 필요(최대 12W 소모)
에뮬레이터로 게임을 실행하면 발열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스마트폰의 구조상 장시간 게임을 구동하면 손으로 잡고 있기 힘들 정도로 뜨거워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GameSir X3 Pro 같은 전용 컨트롤러와 펠티어 쿨러를 장착했다.
이 컨트롤러를 장착하고 스마트폰을 결합하면, 외형적으로는 마치 스팀덱과 유사한 형태를 갖추게 된다. 그러나, 쿨러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완전한 휴대성은 다소 떨어진다.
5. 갤럭시 S25에서 위쳐3 실행 결과
- 해상도 1280×800, 낮은 옵션 기준으로 평균 50~60fps 유지
- 발열이 심해지면 GPU 클럭이 1,200MHz → 500MHz로 급격히 하락
- 프레임이 10fps 이상 떨어지는 현상 발생
- 쿨러 사용 시 안정성 70%까지 유지
- 라이트 모드 적용 시 성능이 더 균일하게 유지됨
기본적으로 쿨러 없이 장시간 게임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특히, 고부하 상태에서는 온도가 90도를 넘기며, 스로틀링이 걸려 성능이 급격히 하락했다. 반면, 프레임을 30fps로 제한하면 좀 더 안정적인 플레이가 가능했다.
6. ARM 기반 게임 환경의 미래는?
갤럭시 S25에서 위쳐3 실행이 가능하다는 것은, ARM 아키텍처가 점점 x86을 대체할 가능성을 보인다는 의미다. 이미 밸브(Valve)는 스팀 플랫폼에서 ARM 기반 게임 실행을 지원하는 Proton 호환 레이어 기술을 개발 중이며, 일부 게임은 ARM 환경에서 원활히 실행되고 있다.
7. 마치며
갤럭시 S25 울트라에서 위쳐3를 실행하는 실험을 통해, ARM 기반 스마트폰이 PC 게임을 실행할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물론 아직까지는 성능과 발열 문제, 에뮬레이션의 한계 등으로 인해 실용성이 완벽하지는 않다. 하지만, ARM 기반 칩셋의 발전과 에뮬레이터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선된다면, 가까운 미래에 스마트폰이 곧 게임 콘솔이 되는 시대가 열릴 수도 있다.
앞으로 ARM 기반 게임 환경이 어떻게 발전할지 기대해 보자.
#스마트폰게임 #갤럭시S25 #위쳐3구동 #ARM게이밍 #모바일콘솔
'리뷰 > 전자기기 사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S25 등장! 아이폰 16 프로 맥스의 게임 성능은 무너졌을까? (0) | 2025.02.13 |
---|---|
샤오미 레드미 워치 5 리뷰: 12만원대 스마트워치, 이 가격에 가능? (0) | 2025.02.13 |
게임 프레임 3배 증가? 오리(Loose Less Scaling)로 성능 올리는 방법 (0) | 2025.02.13 |
갤럭시 S25 울트라 카메라 비교: S23·S24·아이폰 16과 뭐가 다를까? (0) | 2025.02.12 |
가성비 끝판왕? SAUNGYU BK4020D 스피커 리뷰 – 과연 에디파이어를 넘을까?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