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전자기기 사용기

OLED TV 고민 중이라면? 2025년 삼성 SF90 직접 써봤습니다

by 코스티COSTI 2025. 4. 3.

시작하며

요즘 TV를 새로 구매하려는 사람이라면 단순히 크기나 해상도만 보고 고르던 시대는 지났다는 걸 체감할 것이다. 화면 사이즈와 화질은 여전히 중요하지만, 이제는 AI 기반의 화질 보정, 음성 제어, 스마트홈 연동 같은 스마트 기능까지 함께 고려해야 합리적인 선택이 된다. 이번 글에서는 삼성전자 2025 OLED TV ‘SF90’ 77인치 모델을 기준으로 최신 TV의 기능과 특징을 디테일하게 살펴본다.

 

1. OLED TV, 여전히 고민된다면 이 점을 먼저 따져보자

OLED TV는 여전히 LCD나 QLED보다 높은 가격대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만큼 차별화된 강점을 갖고 있다. 특히 영상 콘텐츠 중심의 시청 환경에서는 OLED의 특성이 분명한 차이를 만들어낸다.

OLED TV의 주요 특징 정리

  • 자체 발광 구조: 백라이트 없이 픽셀이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정밀한 색 표현과 깊은 블랙 구현이 가능하다.
  • 완전한 블랙 표현: 각 픽셀 단위로 꺼질 수 있어 영상의 명암비가 뛰어나다.
  • 얇고 슬림한 디자인: 백라이트가 없어 패널이 얇고 가벼우며, 벽걸이 또는 스탠드 방식 모두에 잘 어울린다.
  • 번인 우려는 과거의 이야기: RTINGS의 장기 테스트에서도 문제가 거의 없었고, 현재는 번인 방지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안정성이 높아졌다.

넷플릭스, 디즈니+, 애플TV+처럼 영상미가 중요한 콘텐츠를 자주 본다면, OLED가 훨씬 만족스러울 수밖에 없다.

 

2. 144Hz 고주사율, TV에도 필요한 이유가 있다

TV에서 고주사율 기능이 왜 필요한지 의아할 수 있지만, 최근 트렌드는 점점 게임, 유튜브 콘텐츠, 고프레임 영상을 TV로 소비하는 쪽으로 확대되고 있다.

고주사율 TV의 장점 요약

  • 부드러운 화면 전환: 144Hz 주사율은 게임 플레이 시 몰입도를 높여준다.
  • 콘텐츠 종류와의 조화: 영화(24fps), 유튜브 영상(30~60fps), 일반 방송(60fps) 등 다양한 프레임에 맞게 적응력 있는 화면 구현이 가능하다.
  • 게이밍 TV로도 활용 가능: HDMI 2.1 포트와 함께 고주사율을 지원해 PC나 콘솔 게임기와의 연동성이 우수하다.

실제로 SF90 모델은 고주사율과 4K 해상도를 동시에 지원하기 때문에, 거실에서 대형 화면으로 게임을 즐기기에도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3. AI 업스케일링, 콘텐츠 품질의 한계를 넘다

현재 방송 콘텐츠 대부분은 4K가 아닌 경우가 많다. 국내 방송은 물론이고 OTT에서도 진짜 4K는 일부에 불과하다. 이런 상황에서 저해상도 콘텐츠를 고화질로 보여주는 업스케일링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AI 업스케일링의 주요 포인트

  • 저해상도 콘텐츠 실시간 보정: 3세대 AI 4K 프로세서가 영상 속 디테일을 실시간 분석해 최대 4K 수준으로 선명도를 높인다.
  • 모션 보정도 함께: 과거에는 선명도는 높았지만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웠던 한계를 넘어서, 현재는 부드러운 모션까지 제공한다.
  • 실제 사용 시 체감 효과: 오히려 콘텐츠 제작 환경의 한계를 하드웨어로 극복하는 셈이다.

넷플릭스 같은 OTT 콘텐츠 외에는 대부분 고해상도 콘텐츠가 부족한 현실에서, 이 기능은 단순 보조 기술이 아니라 핵심 기능이라 할 수 있다.

 

4. AI 사운드 기술, 영상보다 인상적일 수도 있다

영상이 아무리 좋아도 소리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면 몰입감이 떨어진다. SF90 모델은 AI 기반 사운드 기술을 통해 사용자 환경에 최적화된 오디오를 제공한다.

AI 사운드 기능 구성

  • 실내 환경 인식: 주변 소음과 반사음을 인식해 사운드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낮에는 볼륨을 높이고 밤에는 줄여주는 식이다.
  • 음성 강조 기능: 대사와 배경음을 AI가 분리해, 음성 전달력을 높인다. 뉴스나 예능처럼 대화 중심 콘텐츠에 특히 효과적이다.
  • 사용자 습관 학습: 사용자가 평소 선호하는 음량을 시간대별로 기억하고 자동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기능은 단순히 '좋은 스피커'를 넘어, 실제 시청 환경에 맞는 사운드 컨트롤을 가능하게 한다.

 

5. 스마트 TV의 핵심, 음성 제어와 스마트싱스 연동

최근 몇 년 사이 스마트TV가 보편화되면서 음성 제어나 스마트 기기 연동은 선택이 아닌 기본이 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얼마나 잘 작동하느냐는 또 다른 문제다. SF90 모델은 삼성 빅스비와 스마트싱스를 통해 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

주요 기능 리스트

  • 빅스비 음성 제어: 단순히 채널 전환이나 볼륨 조절 수준이 아니다. "오늘 날씨 알려줘", "현재 환율 알려줘", "가족이 출장 간 지역 시간은 몇 시야?" 등 대화형 명령이 가능하다.
  • 스마트싱스 허브로 기능 확장: 집안의 다양한 기기들과 연결되어 냉장고, 세탁기, 공기청정기, 조명 등을 TV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예: "로봇청소기 시작해줘", "조명 꺼줘", "냉장고 안에 뭐 있어?"
  • AI 기반 제어 최적화: 단순 명령이 아닌,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맞춰 기능을 조절하는 스마트한 동작이 가능하다.

스마트홈을 구성할 때 TV가 단순 소비 기기에서 컨트롤 허브 역할까지 수행하는 흐름에 부합하는 모델이다.

 

6. 데일리 보드와 가족 소통 기능까지 담은 대형 디스플레이

거실에서 TV는 단순히 콘텐츠 소비를 위한 디스플레이를 넘어 가족 간 소통과 일정 관리에도 활용될 수 있다. SF90은 이를 가능하게 하는 '데일리 보드'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데일리 보드 활용법

  • 자동 실행 감지 기능: 사람이 TV 근처에 다가가면 자동으로 켜지며 데일리 보드가 활성화된다.
  • 다양한 위젯 구성: 날씨, 일정, 에너지 사용량, 홈 CCTV 화면, 메모, 음악 재생 등 다양한 정보를 위젯으로 구성해 한눈에 확인 가능하다.
  • 스마트폰 연동 메모 기능: 스마트싱스 앱을 통해 가족 구성원이 어디서든 메모를 남길 수 있어, 외출 전 전달사항이나 간단한 알림을 공유하기 좋다.

TV가 가족 간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도 작용한다는 점은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진 패턴이다.

 

7. 콘텐츠와 자막을 인식하는 AI, 리모컨 하나로 검색까지

SF90 TV에는 콘텐츠와 자막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그 위에 기능을 더하는 AI가 적용되어 있다. 특히 시청 중인 장면에서 바로 추가 정보를 확인하거나, 외국어 자막을 번역해서 보는 것이 가능하다.

AI 기반 기능들

  • 클릭 투 서치: 리모컨의 AI 버튼을 누르면 현재 시청 중인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검색해 보여준다. 예를 들어 드라마 속 배우 정보, 배경지 위치 등 실시간 탐색이 가능하다.
  • 실시간 자막 번역: 온디바이스 AI가 자막을 인식해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즉시 번역해서 보여준다. 외국어 콘텐츠 시청에 큰 도움이 된다.

이처럼 SF90 모델은 '보고 듣는 TV'에서 나아가, '이해하고 반응하는 TV'로 진화하고 있다.

 

마치며

2025년형 삼성 OLED TV 'SF90' 77인치는 화면 크기와 해상도를 뛰어넘어, AI 기반의 화질·사운드 최적화, 스마트홈 연동, 실시간 정보 제공까지 가능하게 하는 진보된 기기였다. 단순히 콘텐츠를 보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아니라, 집 안에서의 중심 역할을 맡을 수 있는 장치라는 점에서 눈여겨볼 만하다. 올해 TV를 교체할 계획이라면, 이제는 어떤 패널을 쓰느냐보다 얼마나 스마트하고 실용적인 기능을 갖추고 있는지가 더 중요해졌다. SF90 모델은 그러한 기준에 잘 부합하는 제품이라고 생각한다.

사업자 정보 표시
코스티(COSTI) | 김욱진 | 경기도 부천시 부흥로315번길 38, 루미아트 12층 1213호 (중동) | 사업자 등록번호 : 130-38-69303 | TEL : 010-4299-8999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18-경기부천-1290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