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
2025년형 삼성과 LG의 신형 빌트인 냉장고가 출시되면서 ‘키친핏’ 냉장고 시장에 큰 변화가 생겼다. 특히 인테리어 일체감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에게는 냉장고장과의 간격, 도어 여닫이 각도, 신기술 탑재 여부 등이 중요한 기준이 되는데, 이번에는 두 브랜드의 신제품 차이를 꼼꼼히 비교해 보고, 어떤 모델을 선택하는 게 더 합리적인지 함께 살펴보겠다.
1. 삼성 키친핏 맥스 냉장고, 어떤 점이 달라졌을까?
삼성전자는 프리스탠딩 기능을 빌트인 냉장고에 이식하며 새로운 선택지를 제시했다.
기존 빌트인 냉장고는 ‘인테리어 일체감’만 장점이었지만, 삼성은 여기에 프리미엄 기능까지 더했다. 외관뿐만 아니라 성능도 업그레이드됐는데, 특히 AI 비전 인사이드와 AI 하이브리드 쿨링, 도어 터치 디스플레이 같은 기술이 눈에 띈다.
📑 삼성 키친핏 맥스 주요 변화 요약
- 9인치 디스플레이 탑재: 냉장고 도어에 태블릿 크기 스크린 장착, 콘텐츠 시청 및 푸드 매니저 기능 지원
- AI 비전 인사이드: 식재료 자동 인식 기능 → 37종까지 인식 가능
- 하이브리드 쿨링: 컴프레셔+펠티어 반도체 동시 냉각 방식 → 전력 효율 상승
- 홈바 적용 모델 출시: 푸드 쇼케이스 기능 추가로 냉기 손실 최소화
- 최대 용량 640L: 내부 수납공간 22% 확장
- 정수기 옵션: 오토필 방식의 물통 기반 정수 기능 탑재
- 오토 오픈 도어: 센서 터치로 문이 자동으로 열림
주의할 점은 있다.
- 도어 바스켓 부재
- 냉동실의 수납 효율 낮음
- 고가 모델(449만원대)의 실질적 가성비 논란
2. LG 피덴맥스 냉장고, 진짜 달라진 점은?
LG는 빌트인 냉장고 ‘라인업 확장’과 ‘설치 최적화’에 집중했다.
냉장고 자체보다 ‘어떤 주방에 어떻게 넣을 수 있느냐’에 대한 고민이 반영됐다. ‘제로 클리어런스’와 ‘전면 방열 기술’이 대표적이다. 특히 좁은 주방에도 설치 가능한 504L 모델이 추가되면서 실속형 소비자를 공략하고 있다.
📑 LG 피덴맥스 주요 변화 요약
- 새로운 용량 라인업: 504L, 601L, 613L까지 구성
- 김치냉장고 빌트인 버전 확대: 324L~480L 와이드형 출시
- 제로 클리어런스 도어: 벽면 밀착 설치 가능 → 도어 충돌 방지 기술
- 전면 방열 구조: 벽에 붙여도 발열 문제 없음
- 크래프트 아이스 적용 모델 확대: 스텝 냉장고 포함, 단 정수 필터 관리 비용(6,900원/월) 발생
수납 효율은 여전히 LG 강점
- 멀티 수납 코너: 간식, 소스류 따로 보관
- 신선 플러스 트레이: 양파, 대파 보관 특화
- 접이 선반 유무로 등급 구분: 기본 제공되지 않아도 35,000원에 별도 구매 가능
3. LG vs 삼성, 빌트인 냉장고 비교 핵심만 정리
브랜드 선택에 앞서 핵심 비교 포인트부터 점검해 보자.
📑 두 회사의 주요 차이점 비교
항목 | LG 피덴맥스 | 삼성 키친핏 맥스 |
---|---|---|
디스플레이 | 노크온 도어 (중급 이상) | 9인치 디스플레이 |
홈바 기능 | 미적용 | 적용 모델 있음 |
맞춤 보관실 | 신선 맞춤실 제공 (김치 보관 미지원) | 냉동실 우측 활용 (김치 보관 가능) |
도어 방식 | 제로 클리어런스 (신지 기술) | 벽 밀착 설치 + 오토 오픈 도어 |
정수 기능 | 없음 | 오토필 정수기 일부 모델 적용 |
아이스 옵션 | 크래프트 아이스 (스텝 라인업) | 위스키볼, 큐브형 등 다양 |
내부 재질 | 플라스틱/메탈 (혼용) | 플라스틱/메탈 (혼용) |
디자인 재질 | 스테인리스, 글라스 | 글램 글라스, 메탈 등 |
가격대 | 220만~430만원 | 180만~449만원 |
4. 어떤 모델이 나에게 맞을까?
주방 크기, 수납 습관, 디자인 취향, 가격대를 기준으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상황별 추천 제품 정리
- 가성비 우선 (220만원 전후)
- LG M623GC2042: 크래프트 아이스 미포함, 접이 선반 없음
- 삼성 RF60DB9KFAP: 메탈 쿨링 없음, 유비 청정 탈취만 있음
- 신형 모델 중 중간급 (250만~310만원)
- LG M626MQQ022: 피덴맥스 설치 최적화형
- 삼성 RM90F642EW: AI 디스플레이, 자동 도어 포함
- 프리미엄 기능 필요 (400만원 이상)
- LG 무드업 적용 모델: 고급 인테리어 효과, 노크온 디스플레이
- 삼성 인피니티 키친핏: 오토 오픈 도어, 정수기, 블랙글래스 인테리어
5. 실제 사용해본 사람의 조언
직업 특성상 이런 냉장고들을 상담하고 설치까지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점들을 자주 느낀다.
- ‘화려한 기능보다 설치 환경과 수납 편의성이 더 중요하다’는 소비자 의견이 많다.
- ‘도어 여닫이 각도’나 ‘도어 간격’ 같은 점이 실사용에선 오히려 더 중요하게 느껴질 수 있다.
- 정수 기능, 아이스 옵션은 다이소 트레이나 별도 정수기로 충분히 대체 가능하다는 소비자도 많았다.
마치며
결국 LG와 삼성의 2025년 빌트인 냉장고는 기능의 차이라기보다는 설치 편의성과 수납 설계, 디자인 감성에서 갈린다. 가성비를 중요시한다면 기존 모델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도 많다. 반면 인테리어 일체감과 최신 기술을 원한다면 신형 피덴맥스 또는 키친핏 맥스 모델이 적합할 수 있다. 주방 구조와 생활 패턴에 따라 무엇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느냐가 관건이다.
'리뷰 > 전자기기 사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트롬 워시타워 2025 신제품 vs 구형 모델, 뭐가 달라졌나? (0) | 2025.06.12 |
---|---|
에어컨 쉰내 원인, 구조부터 관리법까지 정속형·인버터형 완전 정리 (0) | 2025.06.12 |
LG 오브제컬렉션 빌트인 냉장고, 실제로 써보니 좋았던 점과 아쉬운 점 (0) | 2025.06.12 |
2025년형 LG Fit&Max 빌트인 냉장고, 신제품으로 바꿔야 할 5가지 이유 (0) | 2025.06.12 |
LG vs 삼성 키친핏 냉장고, 가성비와 기능 차이 제대로 비교해봤습니다 (0) | 2025.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