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
최근 키보드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키워드 중 하나는 '8K 폴링레이트'이다. 일반적으로 이 정도 스펙을 갖춘 제품은 가격대가 10만원을 훌쩍 넘기는 경우가 많지만, 이번에 출시된 다얼유(DAREU) EK87PRO 8K와 EK106PRO 8K는 5만원대 가격에 이 수준의 성능을 담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키감, 성능, 안정성까지 모두 잡은 모습이 인상적이다. 이번 글에서는 EK 시리즈의 구성품, 성능, 기능, 가격 등을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본다.
1. 제품 구성 및 디자인
1) 기본 구성
EK87PRO 8K와 EK106PRO 8K 모두 A to C 케이블, 여분 스위치 2개, 고무 재질의 노브 커버(풀배열 전용) 등 필수 구성품을 제공한다. 기본적인 기계식 키보드가 갖춰야 할 요소들은 모두 포함되어 있다.
2) 색상과 배열
두 제품 모두 클라우드 축과 저소음 머스타드 축 버전으로 출시됐고, 색상은 블랙과 화이트 두 가지다. EK87PRO는 텐키리스, EK106PRO는 풀배열 형태이며, 풀배열 제품에는 노브가 포함돼 있어 편의성이 한층 강화됐다.
2. 케이블 품질과 사용 팁
1) 케이블 저항
기본 제공되는 케이블은 접지는 잘 돼 있지만 저항 수치가 1,200~1,300mΩ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이 정도 수치면 고성능 사용 시 제한이 있을 수 있어, 별도 고품질 케이블을 구매해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2) 연결 안정성
과거 A 시리즈에서 일부 발생했던 연결 불안정 이슈는 이번 EK 시리즈에서 펌웨어 개선을 통해 대부분 해소됐다.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적용된 제품에서는 연결 흔들림 현상이 거의 사라졌다.
3. 8K 폴링레이트 성능 분석
① 기본 성능
Fn + H 키를 누르면 H 모드(고성능 모드)로 진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평균 응답 속도 0.3ms 수준의 성능을 낼 수 있다.
실측 기준 텐키리스 모델은 실성능 6K 가까이 측정됐고, 풀배열도 5.6~7K 사이의 성능을 보였다.
② 성능 해석
이 정도 수치는 일반적인 기계식 키보드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고성능이다.
특히 래피드 트리거가 없는 일반 기계식 키보드 중에서는 상위권에 속한다.
4. 타건감과 키감
① 타건 품질
스테빌라이저 튜닝은 8K 이전 모델과 유사한 수준으로, 철심 소리 문제는 일부 존재하지만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타건감을 유지한다.
② 스위치 설명
클라우드 축: 일반적인 리니어 타입
저소음 머스타드 축: 타건 소음과 피드백의 밸런스를 잡은 저소음 타입.
먹먹하지 않아 적응하기 쉽다.
③ 키캡
PBT 이중사출 키캡이 사용되며, 두께는 1.33~1.48mm 수준으로 비교적 두툼한 편이다.
내구성과 촉감 모두 준수하다.
5. 부가기능 및 활용성
① LED 설정 버튼
무선을 지원하지 않는 모델이기 때문에 LED 모드는 본체 왼쪽에 위치한 버튼으로 조절한다.
② 꾹보드 모드
Fn + M을 누르면 꾹보드 모드가 활성화되어 3~4키 동시 입력을 지원한다.
메이플스토리, 겟앰프드 등 일부 구형 게임에서 활용도가 높다.
6. 가격과 가성비 비교
제품명 | 정가 | 특가 | 배열 형태 | 비고 |
---|---|---|---|---|
EK87PRO 8K | 69,000원 | 49,000원 | 텐키리스 | 소형 책상 적합 |
EK106PRO 8K | 79,000원 | 59,000원 | 풀배열 | 숫자 키패드 포함 |
EK 시리즈는 가격대 성능비로 볼 때 경쟁 제품이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이 가격에 이 성능을 제공하는 기계식 키보드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며, 성능만 보면 훨씬 더 비싼 제품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7. 경쟁 제품과 비교
5만~10만원 가격대에서 기계식 키보드를 찾는다면 비교 대상이 되는 제품은 아래와 같다.
독거미 시리즈
AK 시리즈
큐센 DT35
NKey(멤브레인 기반)
이들과 비교했을 때 다얼유 EK 시리즈는 응답 속도, 안정성, 기능, 키감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앞선다. 특히 실성능 6K 이상을 기록하는 제품은 이 가격대에서 거의 유일하다.
마치며
다얼유 EK87PRO 8K와 EK106PRO 8K는 단순히 저가형 기계식 키보드가 아니라, 2025년 현재 기준에서 성능과 가성비 모두를 만족시키는 대표적인 모델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고성능 모드를 지원하면서도 기본적인 타건감이 괜찮고, 꾹보드 등 실용 기능까지 갖춘 점에서 많은 사용자들에게 적합하다. 자석축이 아니어도 충분한 반응 속도를 원하는 게이머, 혹은 키감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사무용 사용자 모두에게 추천할 만한 제품이다. 할인 기간이 길지 않으니 필요하다면 서둘러 선택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리뷰 > 전자기기 사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출시 예정, 닌텐도 스위치 2의 주요 기능과 특징 완전 정리 (0) | 2025.04.03 |
---|---|
레노버 아이디어패드 슬림5 리뷰: 라이젠 크라켄 포인트 탑재 노트북 성능 분석 (0) | 2025.04.03 |
RTX 5070은 과연 4070 Ti Super보다 나은 선택일까? (0) | 2025.04.03 |
2026년 출시 예상, 애플 폴더블 아이폰의 디자인은 아이패드와 닮았다 (0) | 2025.04.03 |
차량용 내비부터 전자책까지, 8인치 태블릿 아이뮤즈 K8 실속 기능 리뷰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