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전자기기 사용기

RTX 5070은 과연 4070 Ti Super보다 나은 선택일까?

by 코스티COSTI 2025. 4. 3.

시작하며

RTX 5070은 출시 전부터 큰 관심을 받았던 모델이다. 특히 엔비디아가 “5070은 4090과 성능이 같다”는 식의 발표를 하면서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기대와 의심이 뒤섞인 반응이 이어졌다. 그러나 실제 사용 후기와 벤치마크 결과를 살펴보면, 이야기는 조금 달라진다. 이번 글에서는 RTX 5070의 실제 게임 성능, 벤치마크, 프레임 제너레이션 기능 등을 중심으로 RTX 4070 Super, 4070 Ti, 4070 Ti Super, 그리고 4090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자세히 비교해 보았다.

 

1. 기본 사양과 전작 비교

RTX 5070의 핵심 스펙은 전작들과 비교했을 때 큰 변화를 주지 못했다.

1) VRAM

- 5070, 4070 Super, 4070 Ti 모두 12GB GDDR6X 또는 GDDR7 VRAM 탑재
- 4070 Ti Super만 16GB로 가장 용량이 많다

2) CUDA 코어

- 세부 수치는 다르지만, 성능 격차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수준

3) 프레임 생성 기능

- 5070은 멀티 프레임 제너레이션을 통해 최대 4배 프레임 향상 가능
- 이는 4000번대보다 확실한 업그레이드 요소로 평가된다

4) 가격

- 출시가는 4070 Ti Super보다 살짝 낮은 수준이지만, 성능 차이로 인해 가격 대비 성능 면에서는 아쉽다는 반응도 있다

 

2. 주요 게임 벤치마크 결과 비교

직접적인 게임 성능은 많은 유저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이다. 다양한 게임에서 5070의 실력을 살펴봤다.

① 사이버펑크 2077

- 옵션: 풀옵션 + DLSS 품질 모드
- 5070은 4070 Super보다도 낮은 프레임을 보여주는 경우 존재
- DLSS 및 프레임 제너레이션 4배를 사용해야 60프레임 이상 확보 가능

② 오공

- DLAA 기준에서는 10프레임 수준으로 게임 진행이 어려움
- DLSS 65% 해상도 타협 시 플레이 가능한 수준으로 상승
- 프레임 제너레이션 적용 시 40프레임 정도로 상승하나 4K에서는 부족

③ 호라이즌 제로 던

- 4K 기준에서도 프레임 잘 나오는 편
- 다만 프레임 제너레이션 기능은 이상 작동,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는 문제 존재

④ 포르자 호라이즌 5

- 이례적으로 5070이 4070 Ti Super보다도 높은 프레임 기록
- DLSS는 비정상 작동으로 프레임 수치에 한계 있음

⑤ 섀도 오브 더 툼레이더

- 프레임 제너레이션 미지원
- DLSS 사용 시 모든 그래픽카드에서 안정적 플레이 가능
- 깡 성능은 4070 Ti보다 조금 부족하지만 프레임 제너레이션 사용 시 5070이 약간 앞섬

 

3. 3DMark 및 작업 성능

① 3DMark 테스트

- 최신 벤치마크(스틸 노마드, 스피드웨이)에서는 5070이 앞서는 결과
- 타임 스파이에서는 4070 Ti와 거의 비슷한 수준
- 파이어 스트라이크(DX11 기준)에서는 4070 Super보다 우세

② V-RAY

- CUDA 테스트에서는 드라이버 이슈로 점수가 낮게 나옴
- RTX 테스트에서는 4070 Ti를 넘는 수준으로 양호한 결과

③ 블렌더

- 전체적으로 세 카드가 엎치락뒤치락하는 결과
- 체감 차이는 적음

④ 포토샵

- GPU보다는 CPU 의존도가 높아 성능 차이 거의 없음

 

4. 멀티 프레임 제너레이션 활용법

5070의 가장 큰 장점은 멀티 프레임 제너레이션 기능의 강화다.

① 기본 성능

- 3배~4배까지 프레임 증폭 가능
- DLSS 3.5 이상의 기능이 탑재된 최신 게임에서 유의미한 성능 향상

② Lossless Scaling(LSFG) 활용

- 오리 아이콘으로 불리는 이 프로그램은 20배까지 프레임 생성 가능
- 실사용에서는 2~3배 정도가 적당
- 프레임 제너레이션 미지원 게임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

③ 단점

- GPU 하나로 사용할 경우 깡 프레임이 깎이는 문제
- 듀얼 그래픽카드를 활용하면 성능 손실 없이 적용 가능
- 품질면에서는 엔비디아의 멀티 프레임 제너레이션보다 떨어짐

 

5. 실제 사용 팁과 한계

1) 깡 프레임 확보 중요성

- Lossless Scaling을 쓸 경우 최소 60프레임 이상 확보 후 적용해야 안정적인 결과
- 그렇지 않으면 아티팩트, 울렁거림 등 품질 저하가 발생

2) 전체 화면 모드 사용 불가

- 반드시 창모드에서 실행해야 기능이 작동
- OpenGL 렌더링 선택 필요

3) QHD 환경 추천

- 4K 해상도에서는 여전히 프레임 확보가 어려움
- 옵션 타협 후 QHD로 게임하는 게 실질적인 선택

4) 최신 게임 대응력

- SLM(Small Language Model) 기반 AI 기능이 포함된 게임이 늘어날수록, 5070과 4090 사이의 성능 차이는 더욱 커질 가능성

 

6. RTX 5070은 과연 4090급인가?

1) 성능 차이의 핵심

- 엔비디아가 언급한 5070 = 4090은 ‘프레임 제너레이션’ 사용 기준에서의 이야기
- 프레임을 인공지능이 생성해주는 기술을 활용하면, 겉보기에 비슷한 프레임 수치를 낼 수 있다
- 하지만 깡 성능(실제 렌더링 퍼포먼스)은 4090에 비해 훨씬 낮다

2) 혼란을 줄 수 있는 마케팅

- 멀티 프레임 제너레이션 기준에서는 분명 높은 프레임이 나온다
- 그러나 프레임 생성 없이 기본 성능을 보면, 5070은 4070 Ti 수준을 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 특히 VRAM이 12GB에 그치는 점, 연산 능력 자체에서의 격차 등을 보면 4090과 비교는 무리다

3) 일반 사용자 기준의 판단

- 프레임 제너레이션이 지원되는 게임만 주로 한다면, 가성비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음
- 하지만 모든 게임이 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깡 성능은 여전히 중요하다

 

7. 실사용에서의 가성비 평가

① 초기 가격 부담

- 출시가가 4070 Ti Super보다 살짝 낮을 뿐
- 성능은 그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가격 효율성이 낮다고 평가받는다

② 시간이 지나며 개선될 가능성

- 과거의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처럼, 시간이 지나면 가격이 자연스럽게 하락
- 이후 시점에서는 충분히 구매 매리트가 생길 수 있음

③ 경쟁 제품과 비교

- AMD의 RX 7800 XT 등과 비교 시, 기능성은 앞서지만 순수 성능은 유사
- 실사용 환경과 본인의 활용 패턴에 따라 판단이 필요하다

 

8. 이런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5070이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그래픽카드는 아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라면 고려해볼 만하다.

  • DLSS 3 이상과 프레임 제너레이션이 적용된 최신 게임 위주로 플레이하는 사용자
  • QHD 해상도에서 높은 프레임이 필요한 게이머
  • Lossless Scaling 같은 외부 프로그램을 잘 다룰 수 있는 사용자
  • 향후 가격 하락을 기다려 중고 또는 할인 구매를 노리는 사용자

반면 다음과 같은 경우는 다른 선택이 나을 수 있다.

  • 4K 고해상도 게이밍 위주 사용자
  • 프레임 제너레이션 미지원 게임을 주로 하는 경우
  • 3D 모델링, 렌더링 등 VRAM 사용량이 많은 작업이 주요 용도인 경우

 

마치며

RTX 5070은 스펙만 보면 4070 Ti Super보다 한 단계 아래의 제품이지만, 프레임 제너레이션 기능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사용 만족도는 기대 이상인 측면도 있다. 그러나 엔비디아가 말한 것처럼 4090에 필적한다는 표현은 전제 조건이 너무 많다. 깡 성능, VRAM, 실제 게임 호환성 등을 종합하면, 4090과 비교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실제로 다양한 벤치마크에서 5070은 4070 Super와 Ti 사이 정도의 위치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Lossless Scaling 등 외부 도구와의 조합, 프레임 제너레이션을 활용한 고주사율 환경 구축 등 일부 영역에서는 기대 이상의 퍼포먼스를 보여줄 수 있다.

결론적으로, RTX 5070은 멀티 프레임 제너레이션과 같은 최신 기능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는 충분히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으나, 깡 성능 위주의 게이머라면 가격 대비 성능이 더 뛰어난 모델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사업자 정보 표시
코스티(COSTI) | 김욱진 | 경기도 부천시 부흥로315번길 38, 루미아트 12층 1213호 (중동) | 사업자 등록번호 : 130-38-69303 | TEL : 010-4299-8999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18-경기부천-1290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