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
듀얼 또는 트리플 모니터를 사용할 때, 특정 모니터 하나가 갑자기 켜지지 않으면 당황스럽다. 특히 D-sub to DVI나 HDMI to DP처럼 변환 젠더를 쓸 경우 이런 문제가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오늘은 윈도 디스플레이 설정과 키보드 단축키를 활용해 이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방법을 자세히 정리해본다.
1. 디스플레이 설정으로 모니터 인식시키기
(1) 바탕화면에서 디스플레이 설정 열기
바탕화면의 빈 공간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디스플레이 설정’을 선택한다.
(2) 안 켜지는 모니터 선택
‘디스플레이 설정’ 화면에서 상단에 보이는 모니터 중 안 켜진 모니터를 선택한다. *모니터 번호가 헷갈릴 경우 ‘식별’ 버튼을 눌러 확인 가능하다.*
(3) ‘이 디스플레이 연결 끊기’ 설정
화면을 아래로 내려 ‘여러 디스플레이’ 항목에서 ‘이 디스플레이 연결 끊기’를 선택한 후 → ‘변경한 설정 유지’를 클릭한다.
(4) 디스플레이 재연결 시도
다시 같은 ‘여러 디스플레이’ 항목에서 ‘바탕화면을 이 디스플레이에 확장’을 선택해 모니터를 다시 연결한다. *잠시 기다리면 화면이 켜지거나 약 10초 뒤 정상적으로 표시되는 경우도 많다.*
(5) 설정 저장 후 창 닫기
화면이 정상 출력되면 ‘변경한 설정 유지’를 클릭하고, 설정 창을 닫으면 된다.
2. 단축키로 윈도 재시작하거나 창 이동하기
(1) 보이지 않는 창을 키보드로 이동하기
윈도 키를 누른 상태에서 → 왼쪽 방향키 또는 오른쪽 방향키를 여러 번 눌러본다. *멀티모니터 구성에서 창이 보이지 않을 경우, 숨겨진 창을 이동시키는 데 유용하다.*
(2) 단축키로 윈도 재시작
모니터 연결 오류가 계속될 경우 다음 단축키로 윈도를 재시작해본다.
- 윈도 + X → U → R
위 순서대로 눌러주면 ‘시작 → 종료 → 다시 시작’이 실행된다. 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설정으로 해결되지 않을 때 유용하다.
3. 변환 젠더 사용 시 주의사항
다양한 포트 조합으로 모니터를 연결할 때 변환 젠더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일부 젠더는 호환성 문제로 모니터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변환 방식 | 주의사항 |
---|---|
D-sub to DVI | 일부 구형 모니터만 호환 |
HDMI to DP | 전환 방향(HDMI→DP) 확인 필요 |
DVI to HDMI | 음성 출력은 지원되지 않음 |
USB-C to HDMI | 노트북 포트가 DP Alt 모드 지원해야 가능 |
👉 포트의 방향성과 젠더의 사양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가능하면 일체형 케이블을 쓰는 것이 인식 문제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4. 그래픽 드라이버 재설치도 고려해보기
모니터 연결 문제는 종종 그래픽 드라이버 오류 때문일 수도 있다. 다음의 방법도 함께 고려해보자.
- 장치 관리자 진입: 윈도 + X → ‘장치 관리자’ 선택
- 디스플레이 어댑터 → 우클릭 → 장치 제거
- 재부팅하면 자동으로 드라이버가 재설치됨
또는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수동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마치며
듀얼이나 트리플 모니터 중 한쪽 화면이 안 나올 때는 생각보다 간단한 설정 변경만으로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연결을 끊었다가 다시 확장하는 방법은 많은 상황에서 유용하게 작동한다. 여기에 키보드 단축키와 드라이버 점검까지 함께 활용하면 대부분의 문제는 직접 해결할 수 있다. 자주 겪는 문제인 만큼 미리 방법을 익혀두면 도움이 된다.
'리뷰 > 전자기기 사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북 5년 차 유저가 말하는 윈도우로 다시 돌아가고 싶은 이유 (0) | 2025.04.16 |
---|---|
게임용 모니터 케이블, DP와 HDMI 중 어떤 게 더 유리할까? (0) | 2025.04.16 |
애플 M 시리즈 맥북, 램 16GB vs 32GB? 현명한 선택 가이드 (0) | 2025.04.15 |
드럼세탁기, 사기 전 반드시 알아야 할 5가지 기술적 단점 (0) | 2025.04.15 |
M6 맥북 프로 기다려야 할까? 2026년 OLED·셀룰러 맥북 정보 총정리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