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사회&과학/사회와 역사 관련

아마존강에는 왜 다리가 없을까? 나일강과의 결정적 차이

by 코스티COSTI 2025. 7. 13.

시작하며

아마존강은 세계에서 가장 긴 강 중 하나인데, 정작 다리가 거의 없다. 나일강에는 수십 개가 있는데 말이다. 왜 아마존강은 다리를 만들지 않는 걸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단순히 지리 조건 때문만은 아니다. 환경, 인구, 경제성, 생태 보존까지 다양한 요소가 얽혀 있다.

 

1. 아마존강에 다리가 거의 없는 이유는?

다리 건설이 불가능한 환경이기 때문이다.

아마존강은 길이만 긴 게 아니다. 우기에는 강폭이 수 킬로미터로 넓어지고, 흐름이 자주 바뀐다. 이 말은 곧 단단한 지반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다리를 지어도 강이 위치를 바꿔버릴 수 있다는 뜻이다.

(1) 강이 움직인다? 교각을 둘 수 없는 불안정한 지형

강 하류에서는 범람원이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고, 지반은 퇴적층이라 매우 연약하다. 서울에서 싱크홀이 자주 발생하는 여의도 일대도 과거 한강 범람지였던 것과 같은 원리다.

즉, 교각을 세워도 침하하거나 무너질 가능성이 높다. 경제적 비용도 크고, 안정성도 담보하기 어렵다.

(2) 사람이 별로 살지 않는다

나일강은 주변이 사막 지대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강변에 밀집해 살고, 자연스럽게 다리 수요가 생긴다.

반면 아마존강은 열대우림으로 덮인 지역이며, 인구 밀도가 매우 낮다. 정기적으로 왕래하는 교통이 거의 없고, 오히려 강이 주요 도로 역할을 한다.

 

2. 다리가 없으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없는 게 오히려 생태계에 이롭다.

아마존강은 세계 최대의 탄소 저장고이자 생물 다양성의 보고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플랜테이션 농업, 축산, 불법 벌목 등으로 생태계가 급속히 파괴되고 있다.

(1) 다리 건설은 곧 도로 건설로 이어진다

다리를 지으려면 양쪽에 도로도 만들어야 한다. 이는 곧 열대우림을 가르고, 동물의 서식지를 파편화한다는 뜻이다.

이런 환경 변화는 결국 종 다양성 감소로 이어지게 되고, 기후 변화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2) 서식지 파괴는 연쇄작용을 일으킨다

  • 생물 간 이동 경로 단절
  • 포식자-피식자 균형 붕괴
  • 병해충 확산
  • 온도 상승 및 미기후 변화

결국, 다리 하나가 단순한 교통 인프라 문제가 아니라, 생태계 전체를 흔드는 구조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3. 그렇다면 왜 나일강에는 다리가 많을까?

인구 밀도, 지형, 기후가 아마존강과 다르기 때문이다.

(1) 나일강은 사람들이 강변에 모여 산다

카이로 같은 대도시에는 수천만 명이 모여 산다. 당연히 다리 수요가 발생하고, 실제로 카이로에만 20개 넘는 다리가 존재한다.

(2) 강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

아마존강처럼 강폭이 수 킬로미터로 넓어지지 않는다. 비도 적게 오고, 주변이 건조 지역이라 다리 건설에 유리한 지형이 많다.

(3) 경제적 이유도 크다

도시 간 연결, 물류, 산업 활성화 등 경제적인 이유로 다리가 필요하다. 즉, 다리를 짓는 것이 투자 대비 효과가 크기 때문에 지어진 것이다.

 

4. 인간의 선택은 결국 '필요'가 만든다

시베리아 오비강에는 다리가 있다. 이유는 명확하다.

시베리아에는 노보시비르스크 같은 도시가 철도와 다리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당시에는 무려 5만 명이 동원되고, 에펠이 개발한 구조 기술까지 투입됐다.

즉, 다리는 지리가 아니라 인간의 필요가 만들어낸다. 아마존강에는 아직 그런 필요성이 없거나, 오히려 건설로 인한 피해가 크기 때문에 없는 것이다.

 

5. 아마존강에 다리가 생긴다면?

생태계에는 재앙이 될 수 있다.

2025년 현재, 아마존 열대우림은 매년 서울시 면적의 수십 배가 사라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다리를 건설하면 벌목과 농업, 광산 개발이 더 가속화될 수 있다.

실제로 2010년 브라질 정부가 일부 구간에 도로를 개설한 이후, 그 주변에서 불법 개발이 급증한 사례도 있다.

 

마치며

아마존강에 다리가 없는 이유는 단순히 기술력 부족이 아니다. 인간의 필요, 자연 보존, 지형적 특성, 경제성까지 모두 고려한 결과이다.

그리고 다리가 없다는 건, 어쩌면 그만큼 이 지역이 인류가 아직 손대지 않은 마지막 남은 자연일 수도 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서울·수도권 계곡 어디로 갈까? 직접 다녀온 15곳 비교 가이드

 

서울·수도권 계곡 어디로 갈까? 직접 다녀온 15곳 비교 가이드

시작하며서울과 수도권에서도 맑은 계곡물과 숲속 그늘 아래서 쉴 수 있다는 걸 아는가?멀리 떠나지 않아도 충분히 자연을 누릴 수 있는 2025년 서울·수도권 계곡 여행지를 소개한다. 1. 서울 시

mudidi.tistory.com

 

부산 광안리부터 서면까지, 줄서는 맛집부터 3대 돼지국밥 총정리

 

부산 광안리부터 서면까지, 줄서는 맛집부터 3대 돼지국밥 총정리

시작하며부산은 바다와 맛있는 음식으로 사랑받는 여행지로, 그중에서도 광안리와 서면은 부산을 찾는 사람이라면 꼭 들르게 되는 대표적인 핫스팟이다. 이 두 곳은 아름다운 풍경과 개성 있는

mudidi.tistory.com

 

 

 

사업자 정보 표시
코스티(COSTI) | 김욱진 | 경기도 부천시 부흥로315번길 38, 루미아트 12층 1213호 (중동) | 사업자 등록번호 : 130-38-69303 | TEL : 010-4299-8999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18-경기부천-1290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