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
영상 편집을 하다 보면 "이 장면에서 인물만 따로 떼어내고 싶다", "배경과 인물의 색을 따로 조정하고 싶다"는 생각을 할 때가 많다. 이런 작업을 위해 예전에는 모션 트래킹이나 키프레임 조정을 수동으로 해야 했고, 툴 간 이동도 잦았다. 그런데 파이널컷 프로 11에서 드디어 이런 수고를 덜 수 있게 됐다. 이번에 새롭게 추가된 마그네틱 마스크(Magnetic Mask)는 영상 속 특정 개체, 주로 인물을 쉽고 정밀하게 분리할 수 있게 도와준다. 그리고 단순한 분리 기능을 넘어서 색 보정, 합성, 효과 추가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 가능하다.
이 글에서는 마그네틱 마스크의 기본적인 사용법부터, 실제 예제를 통해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지 하나하나 정리해본다. 기본적인 설정은 물론, 영상 편집의 효율을 높이는 단축키 활용과 크리에이티브한 연출법까지 모두 담았다.
1. 마그네틱 마스크를 적용하는 세 가지 방법
✅ 적용 방법 리스트
- 메뉴 > Modify > Magnetic Mask 클릭
- 도구 모음에서 마술봉 아이콘 클릭 후 Magnetic Mask 선택
- Effects(이펙트) 탭 → Masks and Key 카테고리에서 Magnetic Mask 드래그 후 클립에 적용
세 가지 방법 중 자주 사용하는 방식으로 선택해도 무방하지만, 반복 작업이 많을 경우 단축키 설정을 해두면 훨씬 편리하다.
2. 자주 쓰는 이펙트로 등록해 단축키로 바로 적용하기
마그네틱 마스크를 효과 패널에서 매번 찾기 귀찮다면, 마우스 우클릭으로 '기본 효과로 설정(Make Default Effect)'을 해두자. 이후 단축키 Option + 2를 누르면 자동으로 해당 효과가 적용된다.
이렇게 설정해두면 몇 번의 클릭을 줄일 수 있어 작업 흐름이 빨라지고, 특히 같은 효과를 여러 클립에 반복 적용할 때 매우 유용하다.
3. 마그네틱 마스크 기본 사용법 정리
✅ 선택 및 조절 방법
- 뷰어(Viewer) 창에서 인물이나 개체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영역이 지정됨
- 선택 범위가 부족하면 다시 클릭하여 영역 추가
- 제거할 영역은 Option 키를 누른 상태로 클릭하거나 마이너스 버튼 선택
- 브러시 도구를 사용해 손으로 그리듯 추가/제거 가능
-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드래그하면 브러시 크기 조절 가능
기본적인 마스크 기능에 브러시 크기 조절과 정교한 부분 클릭 기능이 더해지면서, 상당히 세밀한 조정이 가능하다. 복잡한 배경에서 인물을 분리하거나, 배경 일부만 따로 다룰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다.
4. 인물 뒤에 글자 삽입하기 (레이어 활용)
💡 순서대로 따라하기
- 클립에 마그네틱 마스크 적용
- 해당 클립을 복사하여 위 트랙으로 올림
- 아래쪽 클립의 마스크는 비활성화
- Q 키를 눌러 타이틀 텍스트 추가
- Option + ↑↓ 화살표로 타이틀 레이어 조정
- 인물은 전면, 텍스트는 배경처럼 자연스럽게 배치됨
이 방식은 이전 버전에서는 직접 드래그해 순서를 바꾸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간편한 단축키로 해결 가능해졌다. 인물과 텍스트 간 깊이감을 주는 데 효과적이다.
5. 인물에만 만화 효과 주기
✅ 적용 순서
- Effects > Looks > Comic Ink 선택
- 마그네틱 마스크로 인물 선택 후 해당 효과 적용
- ‘Analyze’ 버튼으로 자동 분석
- 원하는 스타일에 맞춰 효과 강도 조절
이 기능은 인물에게만 효과를 줄 수 있어 영상 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개성 있는 화면을 만들 수 있다.
6. 선택된 인물만 흑백 처리하기
✅ 활용 방법 리스트
- 마그네틱 마스크로 인물 선택
- Effects > Color > Black & White 적용
- 인물만 흑백으로 만들기 또는 반대로 배경만 흑백으로 만들기
- ‘Invert’ 버튼을 누르면 선택 영역이 반전되어 배경만 흑백으로 처리 가능
이 방식은 광고나 인터뷰 영상, 감정선을 강조하는 시네마 스타일 영상에 자주 쓰인다.
7. 인물 외 배경만 흐리게 처리하기 (블러 + 인버트 응용)
✅ 사용 순서
- 마그네틱 마스크로 인물 선택
- Effects > Blur 항목에서 원하는 블러 효과 적용
- ‘Analyze’ 버튼 클릭 후 분석 완료
- 인버트(Invert) 버튼을 눌러 마스크 영역을 반전
- 블러 강도 조절로 배경 흐림 정도 조절
이렇게 하면 인물은 선명하고, 배경은 흐릿하게 보여 입체감이 생긴다. 특히 피사체를 부각시키고 싶을 때 시각적으로 효과적이다.
8. 인물만 색상 조절하고 배경은 그대로 두기
💡 활용 팁
- Effects > Color > Color Adjustment 적용
- 인물 선택 후 Analyze 실행
- 인물의 밝기, 채도, 색조 등 자유롭게 조절
- 'Outside' 탭을 이용하면 배경의 색감만 따로 조절 가능
이 기능은 브랜드 색상 강조, 특정 장면의 감정 강조, 영상 분위기 전환 등 다양한 목적에 활용할 수 있다.
9. 영상 속 모니터 화면 합성하기
💡 실전 적용법
- 마그네틱 마스크로 모니터 화면 선택
- Analyze 실행
- 원하는 영상 클립을 아래쪽 트랙에 배치
- 크기와 위치 조정으로 정확하게 삽입
조금만 응용하면 TV 화면에 광고 영상, 스마트폰에 앱 사용 화면을 자연스럽게 넣을 수 있다. 특히 리뷰 영상, 인포그래픽 영상에서 자주 쓰이는 기법이다.
10. 컬러보드, 컬러 커브, 컬러 휠로 추가 색보정
✅ 사용 가능한 보정 도구
- Color Board: 톤, 채도, 노출을 전반적으로 조절할 때
- Color Curves: 섬세한 밝기 및 대비 조절
- Color Wheels: 밝기와 색상을 동시에 정교하게 조정 가능
마그네틱 마스크로 선택한 대상에 이 도구들을 병행해 적용하면, 특정 대상은 따뜻한 색감으로, 배경은 차가운 색감으로 연출하는 식의 다양한 톤 매칭이 가능하다.
11. 자주 쓰는 활용 아이디어 요약
✅ 마그네틱 마스크 응용 리스트
- 인물 분리 후 텍스트 레이어 배치
- 인물에만 필터 효과 적용 (만화, 오일페인팅 등)
- 인물 또는 배경에만 흑백 효과 주기
- 배경에만 블러 효과 적용해 인물 강조
- 특정 대상에만 색 보정 적용
- 화면 합성용으로 모니터, 스마트폰 부분만 선택
- 광고 영상에서 특정 제품에만 포커싱
- 1인 촬영 시 배경 정리 용도로 사용
이러한 방식들은 모두 영상의 집중도를 높이고, 시선을 끄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온라인 광고 영상이나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 같은 숏폼 콘텐츠에서 매우 잘 어울린다.
마치며
마그네틱 마스크 기능은 이번 파이널컷 11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기능 중에서 실질적으로 작업 효율을 높이는 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이다. 단순히 ‘인물 분리’라는 기본 기능만 활용할 것이 아니라, 색 보정, 합성, 연출 등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해 사용해보길 추천한다.
이 기능 하나만으로도 기존에 복잡한 키프레임 작업이나 외부 프로그램을 써야 했던 과정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꾸준히 반복해 사용하다 보면 영상 편집 속도와 완성도가 동시에 올라가는 경험을 할 수 있다. 특히 콘텐츠를 자주 제작하는 사람이라면, 이번 기능을 숙지하는 것만으로도 편집 퀄리티에 눈에 띄는 차이를 만들 수 있다.
'영상편집 강의 > 파이널컷'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널컷에서 자막·분할·모션까지, 초보도 가능한 간단 편집법 모음 (0) | 2025.03.31 |
---|---|
유튜브 편집 초보 탈출: 파이널컷 프로로 시작하는 4단계 핵심 루틴 (0) | 2025.03.30 |
파이널컷이 불편했던 이유, 직접 만든 플러그인으로 해결한 방법 (0) | 2025.03.29 |
파이널컷 편집 시간을 줄이는 핵심 팁 7가지 (0) | 2025.03.29 |
유튜브 영상 편집, 파이널컷 이 기능 모르면 시간 낭비됩니다 (0) | 2025.03.29 |